<p></p><br /><br />LH 직원 수사의 핵심은 과연 내부 정보를 빼내 투기를 했는지 여부입니다. <br> <br>그래서, 채널A가 LH의 감사보고서를 들여다봤는데요. <br> <br>신도시 후보지와 관련해 기밀 정보가 새어나갈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는 경고가 들어있었습니다. <br> <br>예견된 사태였던 겁니다. <br> <br>서채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채널A가 입수한 LH 자체 감사 보고서입니다. <br> <br>지난 2016년부터 2018년 9월까지 모든 부서를 대상으로 감사를 실시했는데, <br> <br>2018년은 3기 신도시 후보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하던 시기입니다. <br><br>9월에는 정부가 신도시 조성을 예고했고, 3개월 뒤인 12월, 남양주와 하남, 인천을 지정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감사 보고서에는 신도시 후보지 관련 보안자료가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고 적시돼 있습니다. <br><br>내부 협의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등 외부기관과의 논의에서 비밀이 샐 수 있는 여지가 많은데도, 명확한 보안 절차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겁니다. <br><br>당시 LH 감사실은 담당 부서에 보안 지침을 만들도록 했습니다. <br><br>이 지시에 따라 2019년 3월, 후보지 관련 사무실은 통제구역으로 설정하고 담당자에 보안서약서를 받는 지침이 마련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LH의 보안 불감증은 여전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내부 기강을 점검하는 자체 감사를 실시했는데, 후보지 자료 관리는 물론 군의 자문을 구하는 과정에서도 보안의 허점이 <br>드러난 겁니다. <br><br>징계는 경고나 주의가 전부였습니다. <br> <br>[김주호 / 참여연대 사회경제 1팀장] <br>"LH뿐만 아니고 관련 기관들의 보안, 기밀정보에 대한 보안 조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아예 마련돼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(사례입니다.)" <br><br>허술한 보안에 솜방망이 처벌이 잇따르면서, LH가 지금의 사태를 자초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채리입니다. <br><br>seochaeri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이 철 <br>영상편집: 조성빈 <br>자료제공: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실